고객서비스

정보센터

 HOME  >  고객서비스  >  정보센터

[국가별 정보] 코로나19와 물류대란이 야기한 EU 공급망 자립정책

  • 운영자 /
  • 날짜 2021.10.14 /
  • 조회수 2,547 /

 

- 물류 수급불균형에 따른 물류대란 장기화...EU 업계 원자재·부품 수급 애로 -

- 높은 아시아 공급망 의존도 탈피를 위한 자립·지역화 전략 추진 -



물류 수급불균형이 야기한 글로벌 물류대란

 

2021년 상반기부터 소비 회복세가 지속되며 여러 경제 지표들이 회복되고 있지만 글로벌 공급망 붕괴에 대한 우려는 심화되고 있다. 계속되는 물류 운임 상승과 운송 지체로 인한 원자재 수급에 차질로 제조업 경기에 비상등이 켜지며 장기적인 경제 회복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기 때문이다. 2021년 9월 30일 기준 상하이컨테이너 운임지수(SCFI)*는 4,614.1로 2021년 7월 사상 최초로 4,000선을 돌파한 이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중국발 유럽향 표준 컨테이너 운송비는 '20년 기준 1,509유로에서 '21년 8월 11,773유로로 8배나 증가해 집계이후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주*: 상하이항에서 출항하는 컨테이너선 15개항로단기운임 종합지수로 컨테이너 해상운송료 수준을 나타내는 대표지표로 사용됨.

 

운임비 상승 및 물류 지연 등 이번 물류난의 근본적인 원인으로는 수급불균형이 지목되고 있다. 코로나19의 세계적인 유행으로 2020년 상반기부터 생산라인이 중단되며 수출입 물동량이 얼어붙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시적으로 위축되었던 물류 수요가 다시 발생하기 시작하자 전반적인 지연과 적체 상태가 발생한 것이다. 특히 해상 물류는 글로벌 선사들이 코로나 이전부터 선박의 발주를 미루고 있다가 급격히 늘어난 물류 수요에 대응할 선박이 마련되지 못한 것도 원인을 더했다. 이외에도 델타 변이 확산에 따른 항만과 공항 직원 코로나 확진 및 폐쇄, 수에즈 운하 사고 및 남아공 국영 항만에 대한 사이버 공격 등 인프라 악재가 연달아 발생한 바 있다.

 

 

원자재·부품 수급 곤란을 겪는 유럽 기업과 대응현황

 

물류대란은 유럽의 원자재 및 부품 수급 문제로도 이어지고 있다. 유럽통계청(Eurostat)에 따르면 2021년 8월 기준 원자재 및 기계수급의 어려움으로 생산에 차질을 겪고 있는 기업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대표적으로 언급되어온 자동차 업계 외에도 전자기기 및 일반 기계류, 컴퓨터, 가구 등 전 산업계가 공급 위기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물류대란으로 공급망 차질이 심화되고 기업들의 부담이 증가하자 각 국 정부 및 기업에서는 대응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해상운임의 급증으로 물류비 부담을 짊어지게 된 기업들은 선적거래조건 변경, 통관수수료율 재협상 등에 나서고 있지만 더 빠른 속도로 상승 중인 해상운임을 따라잡기엔 역부족일뿐더러 당장 화물을 실어 나를 선적공간 확보조차도 어려운 실정이다.

 

2021년 7월 미국 연방해사위원회(FMC)가 해상운임 및 체선료*부과 적정성 여부에 대한 조사에 돌입함과 동시에 EU집행위 역시 해운업계를 주시하고 있으며 적정 개입범위를 검토하기 위해 선사, 항만청, 물류기업, 기업대표 등 이해관계자들과 면담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대부분 글로벌 선사가 유럽기업임에 따라 유럽 관련당국이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불만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주*: 계약기간 내 화물이 선박에 선적 또는 하역되지 못했을 때 손실에 대한 요금

 

정부가 제재마련에 나서자 유럽 글로벌 선사들은 운임동결 발표를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프랑스 CMAGMA사는 2021년 1월까지 단기운임을 동결하였고 독일 Hapag-Lloyd도 몇 주간이라도 단기운임동결에 참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물류난 및 코로나19 계기 공급망 지역화 필요성 대두

 

한편 이번 공급 병목이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유럽-아시아 간 존재했던 공급망 불균형 문제가 코로나19로 인해 가시화 된 것으로 평가되면서 유럽 내에서 글로벌밸류체인(GVC)재편 움직임이 전개되고 있다. 특정 품목과 지역에 대한 높은 의존성이 장기적으로 산업 경쟁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EU 집행위는 2021년 5월 신산업전략을 발표하고 EU가 수입하는 5,200개 제품 중 역외 공급업체에 크게 의존하는 민감 품목이 137개에 이르는 것으로 진단했다. 특히 민감 품목의 대다수를 중국(52%)과 베트남(11%) 등 아시아 지역에서 수입하는 것으로 밝히며 주요 산업분야에서 전략적인 자율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실제로 차량용 반도체 칩 후공정이 주로 이뤄지는 동남아시아 지역의 조립라인이 코로나19로 멈춰서면서 유럽 완성차 업체를 포함, 전세계 자동차 생산에 막대한 차질을 겪은 바 있다. 자동차 산업이 EU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에 이르는 가운데 핵심 부품 공급 지연에 따른 타격이 장기화됨에 따라 정부 및 관련 업계를 중심으로 공급망 재정립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대응코자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EU집행위원장은 2021년 9월 15일 연례정책 연설에서 반도체 공급안정화와 기술주권 확보를 위해 역내 반도체 자급자족 생태계 조성을 언급했다. 이어 ‘유럽반도체법(European Chips Act)’을 마련하고 △EU의 반도체 생산 점유율 20%달성, △2나노급 생산설비확충, △역내 R&D역량 강화 등을 추진할 계획으로 밝혔다.

 

유럽 내 공급망 자립 움직임은 산업계에서도 확산되고 있다. 독일 자동차 제조사 폭스바겐 그룹은 2024년까지 배터리셀 자체생산에 300억 유로 규모의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독일, 스웨덴, 스페인 등 유럽 내 6개의 배터리셀 생산공장을 건설하고 연간 전기차 500만 대에 공급가능한 배터리 생산역량을 갖출 예정이다. 한편, 기존 내연기관 제조설비를 배터리 생산용으로 전환한 독일 잘츠기터 생산기지에는 7,000만 유로를 추가로 투자해 배터리셀연구소 설립하고 기후조건실험, 고체연료전지(Solid fuel cell) 및 원자재 연구를 강화할 것이다. 

 

 

전망 및 시사점

 

코로나19 이후 경기회복과 전자상거래 이용률 증가 등으로 전 세계 교역량은 한동안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2021년 3분기 국제물류 성수기로 인한 물동량 증가로 항만 적체의 해소는 지연될 전망이다.

 

게다가 EU 집행위가 2021년 7월 14일 발표한 기후 대응 패키지 법안 Fit for 55* 중 ‘해상연료이니셔티브(FuelEU Maritime initiative)’에 따르면 유럽에 입항하는 선박의 탄소배출량 한도를 설정할 계획이다. 신규 친환경선박발주 및 재생연료사용으로 인한 해운 비용 상승으로 유럽간 물류비 증가가 장기화 될 것으로 우려된다. 

 

아울러 코로나19와 물류 대란을 계기로 경제적 상호의존성이 각종 리스크로 불거짐에 따라 EU 집행위를 포함한 주요국 정부가 글로벌 공급망 구축에서 공급망 자립으로 정책 방향을 전환하고 있다. 특히 EU의 경우 6대 전략 산업으로 밝힌 △원자재, △배터리, △원료의약품, △수소, △반도체, △클라우드 및 엣지 컴퓨팅을 중심으로 공급망 지역화 정책이 어떻게 실현될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자료 KOTRA 해외시장뉴스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91145&column=&search=&searchAreaCd=&searchNationCd=&searchTradeCd=&searchStartDate=&searchEndDate=&searchCategoryIdxs=&searchIndustryCateIdx=&searchItemName=&searchItemCode=&page=3&row=10

 


TOTAL : 71

정보센터 게시판

번호 제목 파일 등록일 작성자 조회
71 [국가별 정보] 양대 운하 차질이 미국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 2024.02.20 운영자 216
70 [국가별 정보] EU의 러시아산 철강제품 우회수입금지, 우리 기업이 유의해야 할 점은? 2023.11.08 운영자 669
69 [국가별 정보] 베트남 수입 면세제도 최근 동향 2023.08.10 운영자 1,175
68 [국가별 정보] 일본 수입통관절차 및 RCEP 활용법 알아보기 2023.05.30 운영자 1,481
67 [국가별 정보] EU 단일시장 30주년, 2023년 유럽연합 경제전망 2023.02.09 운영자 2,307
66 [국가별 정보] 한국기업이 주도하는 조지아주 EV 산업 2022.12.22 운영자 2,731
65 [국가별 정보] 일본 주요 글로벌기업의 공급망 ESG 관리 방침 2022.11.04 운영자 2,224
64 [물류 뉴스] 이집트, 수에즈운하 통행료 내년부터 10~15% 인상 2022.09.29 운영자 1,974
63 [물류 정보] 숫자로 보는 세계 70개 항구 적체 현황 리포트(9월 호) 2022.09.29 운영자 1,825
62 [물류 정보] 숫자로 보는 세계 70개 항구 적체 현황 리포트(8월 호) 2022.08.31 운영자 1,707
61 [물류 정보] 숫자로 보는 세계 70개 항구 적체 현황 리포트(7월 호) 2022.07.28 운영자 1,856
60 [무역 정보] 바이든 행정부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무엇을 어떻게 담아낼까 2022.05.30 운영자 2,109
59 [국가별 정보] RCEP 발효, 베트남 수출 유망 상품은? 2022.04.06 운영자 2,248
58 [국가별 정보] 베트남 EPE(수출가공기업)에 대한 신규 준수요건 주요 내용 2022.01.20 운영자 3,040
57 [물류 뉴스] '중국의 배꼽' 우한과 부산항 직항로 열렸다… 물류대란에 '숨통' 2021.11.10 운영자 2,831

Now

[국가별 정보] 코로나19와 물류대란이 야기한 EU 공급망 자립정책 2021.10.14 운영자 2,547
55 [국가별 정보] 중국, 수입 일반화장품 동물시험 의무화 철폐 2021.09.15 운영자 2,679
54 [물류 뉴스] 중기부, 수출 中企 780여곳 물류비 지원…최대 2000만원 2021.07.29 운영자 2,158
53 [국가별 정보] 中, <수출입식품 안전관리방법> 22년부터 시행 2021.06.03 운영자 2,418
52 [물류 뉴스] ‘컨선 고운임시대’ 물류비 절감 해법은 2021.05.11 운영자 3,900
51 [국가별 정보] 美 선박 물류 지연, 그 원인을 파헤치다 2021.04.08 운영자 3,098
50 [물류 뉴스] 코로나19발 수출 물류 대란에 ‘해상 교통정체’ 극심 2021.03.10 운영자 2,449
49 [국가별 정보] 2021년 중국 수입관세제도 주요 변경사항 2021.02.03 운영자 4,227
48 [물류 기고] 코로나19에 따른 베트남 물류 동향과 유의사항 2020.12.03 운영자 2,947
47 [국가별 정보] 中 해관, 배터리 등 수입 시 품질안전점검 간소화 제도 발표 2020.10.27 운영자 2,911
46 [무역 뉴스] 수출물량·금액 넉달째 내리막…반도체 회복에 낙폭은 축소 2020.08.26 운영자 2,749
45 [국가별 정보] 사우디. 200여 개 품목 관세 인상(6월 10일부) 2020.06.11 운영자 3,582
44 [무역 뉴스] 작년 콘텐츠 수출 규모 10조 원 돌파… 한류 영향 2020.05.20 운영자 3,507
43 [물류 뉴스] IATA "코로나 19로 전세계 항공사 매출 300兆 감소할 것" 2020.03.26 운영자 4,181
42 [무역 뉴스] 수산물 수출 서류검사 비중 높여 절차 간소화 한다 2020.02.27 운영자 4,058